헤롯 통치부터 이스라엘 멸망까지

유대 지역은 로마 제국의 지배 아래에서 격동의 시대를 맞이했습니다. 헤롯 대왕부터 시작된 분열된 통치 구조, 로마 황제들의 정치 흐름, 그리고 결국 예루살렘 성전 파괴와 마사다 함락에 이르기까지, 유대인의 운명은 격렬한 정치적 갈등과 신앙의 위기를 동시에 겪었습니다. 이 글은 BC 40년부터 AD 73년까지의 핵심 사건들을 타임라인 중심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 BC 시대

  • BC 40년 – 헤롯이 로마로부터 유대인의 왕위를 얻음
  • BC 37년 – 헤롯 통치 시작
  • BC 31년 – 헤롯, 예루살렘 성전 북쪽에 안토니아 요새 건설
  • BC 30년 –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알렉산드리아에서 사망
  • BC 27년 – 옥타비아누스, 로마 초대 황제 즉위 → 팍스 로마나 시작
  • BC 18년한국 참고: 백제 건국
  • BC 4년 – 헤롯 사망, 세 아들에게 영토 분할: 아켈라오스, 안티파스, 필립

📌 AD 초기

  • AD 4년 – 티베리우스, 황제 권한 부여받음
  • AD 6년 – 아켈라오스 폐위, 유대에 로마 총독 통치 시작
  • → 유대인과 사마리아 대표가 로마에 탄원하여, 아우구스투스가 그를 유배
  • 아켈라오스: 대제사장 교체, 율법 위반 혼인 시도 등으로 민심 잃음
  • 안티파스: 갈릴리·베레아 통치, 세포리스 재건, 나바티아와 평화 정책
  • 헤롯 빌립: 헬라인·시리아인 우세 지역 안정 통치, 가이사랴 빌립보 건설
  • AD 14년 – 아우구스투스 사망, 티베리우스 2대 황제 즉위 (55세)

📌 아그립바와 갈등의 시기

  • AD 34년 – 헤롯 빌립 사망 → 영토는 시리아에 편입
  • AD 37년 – 칼리굴라 황제 즉위 / 아그립바 1세, 빌립 영토 다스림
  • AD 39년 – 헤롯 안티파스, 로마에 반역 혐의로 폐위
  • AD 41년 – 클라우디우스 황제 즉위 / 아그립바 1세, 유대 전역 통치
  • AD 44년 – 아그립바 1세 사망 → 유대는 다시 로마 총독 통치로 전환

📌 제국의 격동과 성전 파괴

  • AD 54년 – 네로 황제 즉위
  • AD 66~70년 – 제1차 유대 대반란
  • AD 68~69년 – 오토, 비텔리우스,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교체기
  • AD 70년 – 예루살렘 함락, 제2성전 파괴 (티투스 장군)
  • → 산헤드린은 야브네로 옮겨짐. 요하난 벤 자카이 활동 시작
  • AD 73년 – 마사다 요새 최후의 저항, 실바 장군에 의해 함락

이 연대기는 단순한 연표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유대 민족이 겪은 정치적 위기, 신앙적 갈등, 그리고 로마 제국의 지배 속에서의 생존 방식을 타임라인으로 정리하면, 성경 시대와 고대 역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