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유월절(Pesach)은 4월 12일 토요일 해질녘부터 시작되어 4월 19일까지 이어집니다. 출애굽의 기적을 기념하는 이 절기는 유대인의 3대 절기 중 하나로, 신앙, 역사, 문화가 모두 어우러진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유월절의 유래부터 세데르 식사, 상징 음식, 그리고 현대적 메시지까지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깊이 있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유월절은 단지 유대인의 절기를 넘어서, 기독교 신앙의 뿌리를 되돌아보게 하는 거룩한 시간입니다. 출애굽의 기억과 예수님의 희생이 만나는 이 절기 속으로 함께 걸어가 봅니다.
Ⅰ 유월절이란?
1. 유월절이란?
유월절(Pesach, 히브리어: פֶּסַח)은 유대교의 3대 절기 가운데 하나로, 이스라엘 민족이 고대 이집트에서 노예 상태에서 해방된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히브리어 ‘페사흐’는 “넘어가다”라는 뜻으로, 출애굽기 12장에서 그 유래를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집트에 10가지의 재앙을 내리셨습니다. 그 중에서 10번째 재앙은 각 가정의 장자가 죽는 재앙이었습니다. 이 재앙을 피하는 유일한 길을 하나님께서 제시하셨습니다. 그것은 어린 양을 잡아 그 피를 문설주에 바르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 장자를 죽이러 집에 들어가고자 하는 천사가 문설주에 피가 발려 있는 집은 “넘어가”서, 장자의 죽음이라는 재앙이 미치지 않게 되었지요. 이때 천사가 “넘어갔다”라고 하여 “넘어갔다” 절기가 되었는데, 그게 유월절이며, 영어로는 passover이며, 히브리어로는 פֶּסַח인 것입니다.
이날 밤을 기념하여, 유대인은 지금도 매년 유월절을 지키고 있습니다.
2. 출애굽 전야
출애굽 전야, 이스라엘 백성은 어린 양을 잡고, 그 고기를 무교병(마쪼트)과 쓴 나물(마로르)과 함께 먹었습니다. 이 사건 이후 하나님은 열 번째 재앙, 즉 이집트의 모든 장자에 대한 심판을 행하셨고, 마침내 바로는 이스라엘을 떠나도록 허락하게 됩니다. 성경에서 보는 유월절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의 기억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구속하시고 인도하셨다는 믿음의 사건입니다.
3. 유월절을 지키는 시기
유월절은 히브리력 니산월 14일부터 시작되어 7일간 지속됩니다. 이스라엘 외 지역, 즉 디아스포라에서는 8일간 지키는 전통이 있습니다. 니산월은 보통 양력 3월 말에서 4월 말 사이에 해당하며, 이 절기는 반드시 봄에 오도록 유대력은 태양력과 조화를 맞춘 윤달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보리가 익었는지 여부로 봄의 도래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아달월 II라는 윤달을 삽입합니다.
4. 유월절 제사(Pesach sacrifice)
성전이 있던 시절, 유대인은 니산월 14일 오후에 어린 양 또는 염소를 잡고, 그 날 밤(15일, 유대인은 해가 지면서 하루가 시작되기 때문에 14일 오후 이후에 도래하는 밤은 새로운 날 15일이 됩니다) 밤에 그 고기를 먹는 유월절 제사를 드렸습니다.
이때 중요한 규례가 몇 가지 있었습니다.
-불에 구워야 하며(삶거나 찌면 안 됨)
-머리, 다리, 내장을 제거하지 않고
-뼈를 부러뜨리면 안 되고
-다음 날 아침까지 남기지 않고 모두 먹어야 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성전이 없기 때문에 이 제사는 더 이상 실제로 드려지지 않지만, ‘세데르 코르반 페사흐’라는 낭송과 함께, 양다리뼈(제로아)를 상징적으로 세데르 접시에 올려 기념하고 있습니다.
5. 하메츠(Chametz, 누룩)의 제거
유월절에는 누룩이 들어간 모든 음식과 발효 식품을 철저히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히브리어로 ‘하메츠(חמץ, Chametz)’라고 부릅니다. 하메츠는 물과 결합되어 18분 이상 발효가 일어난 밀, 보리, 귀리, 호밀, 스펠트 등의 곡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유월절에는 하메츠를 먹는 것은 물론, 보관하거나 소유하는 것도 금지됩니다.
하메츠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가능한 한 소비하거나 폐기합니다.
-불에 태우는 것(소각)이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이방인에게 상징적으로 판매하는 방법도 널리 사용됩니다.
-이때는 랍비가 전체 공동체의 대리인(agent)이 되어, 형식적 계약을 통해 하메츠를 비유대인에게 판매하게 됩니다.
6. 하메츠 수색과 무효 선언
유월절 전날 밤(니산월 14일 저녁), 유대인 가정은 촛불을 들고 집 안 구석구석 하메츠를 수색하는 전통 의식(Bedikat Chametz)을 행합니다. 이 수색은 단순한 청소가 아니라, 신앙적인 의무이자 하나님의 계명에 대한 헌신의 표현입니다. 모든 하메츠를 모아두고, 다음 날 아침에는 불에 태워 없애며, 이때 함께 낭송하는 선언문이 있습니다:
“나의 소유 안에 있는 모든 하메츠는 내가 보지 못했거나 제거하지 못했거나 알지 못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땅의 먼지처럼 무주물(無主物)이 될지어다.”
Ⅱ. 마쪼트와 세데르, 가족과 함께 지키는 절기
1. 마쪼트(Matzah, 무교병)는 왜 중요한가?
유월절의 상징 음식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마쪼트(무교병)입니다. 마쪼트는 밀가루와 물만을 사용하여 발효되지 않도록 18분 안에 굽는 얇은 빵입니다. 토라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를 급히 떠나느라 빵을 부풀릴 시간이 없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마쪼트는 급박한 해방의 상징이 됩니다. 또한, ‘레헴 오니(לֶחֶם עֹנִי)’ 즉, 가난한 자의 떡이라고도 불리며, 겸손과 고난의 기억, 자유의 감사를 되새기게 합니다.
2. 슈무라 마쪼트(Shmura Matzah)란?
정통 유대인 공동체에서는 슈무라 마쪼트를 특별히 선호합니다. 이는 수확할 때부터 발효를 철저히 방지한 곡물로 만든 마쪼트로, 오랜 시간 신중하게 보관된 후 직접 구워 사용합니다. 특히 세데르에서 먹는 마쪼트는 슈무라 마쪼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유월절 세데르(Seder)란 무엇인가?
유월절의 첫날 밤, 디아스포라에서는 첫 이틀 밤에 ‘세데르’(Seder, סדר)라는 특별한 가족 의식 식사를 진행합니다. ‘세데르’는 히브리어로 ‘질서’라는 뜻이며, 하가다(Haggadah)라는 책에 따라 순서에 맞추어 진행합니다. 식탁에는 은 접시, 가장 좋은 식기들, 그리고 의미 있는 음식들이 차려집니다. 온 가족이 둘러앉아 출애굽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 총 네 잔의 포도주를 마시며, 아이들과 어른 모두가 참여와 대화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의례입니다.
4. 세데르의 15단계
세데르 순서는 다음과 같은 15단계로 진행됩니다.
카데쉬(Kadesh) – 키두쉬(축복기도)와 포도주 1잔
우르하츠(Urchatz) – 축복 없이 손 씻기
카르파스(Karpas) – 채소를 소금물에 찍어 먹기
야하츠(Yachatz) – 마쪼트 가운데 조각 나누기 (아피코만 따로 보관)
마기드(Maggid) – 출애굽 이야기 낭독과 두 번째 잔
라흐차(Rachtzah) – 축복 있는 손 씻기
모치(Motzi) – 빵 축복 기도
마쪼(Matzah) – 마쪼트 먹기
마로르(Maror) – 쓴 나물 먹기
코레흐(Korech) – 마쪼트+쓴 나물 샌드위치
슐한 오레흐(Shulchan Orech) – 식사 시간
차푼(Tzafun) – 아피코만 먹기
바레흐(Barech) – 식후 감사기도와 세 번째 잔
할렐(Hallel) – 찬양 시편과 네 번째 잔
니르차(Nirtzah) – 의식의 마무리
이 15단계는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인 시편 120~134편 “순례자의 노래(Shir HaMa’alot)”와 연결되는 상징적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5. 아피코만(Afikoman)이란?
세데르의 네 번째 절차인 야하츠(Yachatz)에서 세 장의 마쪼트 가운데 하나를 둘로 나누고, 큰 조각을 ‘아피코만’(Afikoman)으로 따로 보관합니다. 아피코만은 세데르 후반부에 마지막 음식으로 먹는 상징적 마쪼트입니다. 가정에서는 아이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아피코만을 숨기기도 하고, 아이들이 ‘훔쳐가서’ 보상(간식, 선물 등)을 받고 돌려주는 놀이도 자주 합니다. 이런 과정은 아이들의 기억에 유월절을 특별한 체험으로 각인시키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6. 네 잔의 포도주
세데르에서는 총 네 잔의 포도주를 마십니다. 이 잔들은 단순한 음료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신 네 가지 구속의 약속을 상징합니다.
– 내가 너희를 이끌어내리라
– 내가 너희를 건지리라
– 내가 너희를 속량하리라
– 내가 너희를 취하리라
또한, 다섯 번째 잔인 엘리야의 잔도 테이블에 따르는데,
이는 메시아의 도래와 미래의 구속에 대한 소망을 상징하며 마시지 않습니다.
7. 어린이의 참여: Mah Nishtana(마 니쉬타나)
세데르에서 어린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장 어린 아이가 “마 니쉬타나 하라일라 하제(왜 이 밤은 다른 밤들과 다른가요?)”라고 묻는 ‘네 가지 질문’을 통해, 세데르의 유래와 상징을 이끌어냅니다.
예를 들어 이런 질문들입니다.
왜 오늘 밤은 누룩 없는 빵만 먹나요?
왜 쓴 나물만 먹나요?
왜 음식을 두 번이나 찍어 먹나요?
왜 오늘은 모두 기대어 앉아 먹나요?
아이들의 질문은 하가다의 핵심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는 도구가 되며,
참여한 아이들에게는 견과류나 사탕 등의 보상이 주어지기도 합니다.
Ⅲ. 오메르 계수, 둘째 유월절, 음식 문화
1. 오메르 계수(Counting of the Omer)
유월절이 시작되면, 이 절기가 끝나기까지 50일 동안 특별한 신앙 실천이 이어집니다. 바로 ‘오메르 계수’(스피라트 하오메르, Sefirat HaOmer)라는 의식입니다. 니산월 16일 저녁부터 시작해서 매일 저녁, “오늘은 오메르 몇 번째 날입니다”라는 식으로 날짜를 셉니다. 이 계수는 단순한 날짜 세기가 아니라, 유월절(출애굽 = 육체적 자유)에서 샤부옷(율법 수여 = 영적 자유)까지 이어지는 신앙적 여정을 의미합니다.
* 여기서 유월절과 초실절에 대해서 보충 설명을 붙입니다.
스피라트 하오메르는 실제적으로는 유월절이 아니라 초실절로부터 50일째까지 이어지는 의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월절과 같이 지키는 것이라고 인식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유월절은 일주일동안 지켜집니다. 그리고 유월절 시작일과 초실절 시작일이 단 하루의 차이가 납니다. 즉 초실절을 알리는 스피라트 하오메르는 유월절의 일주일 중에 시작되므로, 스피라트 하오메르가 유월절의 한 의식으로 인식되는 것입니다.
2. 오메르의 상징성과 역사
성전이 있었을 때는 무교절 둘째 날, 니산월 16일에 보리 단을 제단에 올리는 제사로 이 의식을 시작했습니다. 이 날을 초실절이라고 합니다. 역사가 요세푸스에 따르면, 그 보리는 볶고, 빻아, 일부를 제단에 올리고 나머지는 제사장들이 사용했다고 전해집니다. 이 제사의 의미는 지금도 살아 있으며, 여전히 50일 동안 매일매일 기도와 낭송을 합니다. 스마트폰과 앱이 통용되면서부터는 ‘스피라트 하오메르’ 앱을 통해서도 전 세계 유대인들은 이 기간을 지키고 있습니다.
오메르 계수는 출애굽의 자유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이 정신적인 의의는 출애굽을 한 이후 50일째 되는 날에 모세가 시내산에서 율법을 받은 것으로 그 정점을 찍게 되는 것입니다. 농사적으로는 초실절의 보리 추수로 시작하여 오순절의 밀 추수의 기쁨으로 이어지는 것이지요. 즉 이스라엘 백성은 자유를 선물로만 누린 것이 아니라, 율법을 책임감 있게 받아들임으로써 성숙해졌다고 보는 것입니다.
3. 둘째 유월절(Pesach Sheni)
유월절과 관련해 흥미로운 전통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둘째 유월절’(Pesach Sheni, פסח שני)입니다. 성경 민수기 9장에 따르면, 유월절 제사를 드릴 수 없었던 사람들(예: 부정한 상태나 예루살렘에서 너무 멀리 있는 사람들)을 위해 보충의 날로 이야르월 14일을 정해 주었습니다. 유대력으로 이야르월은 니산월 다음 달입니다. 이 날에는 첫 유월절과 같은 방식으로 어린 양을 잡아 제사를 드리며, 뼈를 부러뜨리지 않거나 고기를 아침까지 남기지 않는 규례도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이 전통이 거의 지켜지지 않지만, 일부 공동체에서는 이 날 마쪼트 한 조각을 먹으며 상징적으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4. 유월절 음식 문화
유월절은 하메츠(누룩 있는 것들)를 금지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특별한 음식 문화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아슈케나지계 유대인과 스파르디계 유대인의 음식 전통이 조금 다릅니다.
① 아슈케나짐 음식
마쪼트 브라이: 마쪼트를 물이나 우유에 적신 후 계란과 함께 부쳐낸 음식입니다.
짭짤하거나 달콤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마쪼트 쿠겔: 국수 대신 마쪼트를 넣어 만든 전통 파이입니다.
하로셋: 과일(생과일 또는 건과일), 견과류, 포도주, 향신료 등을 섞은 단 혼합물입니다.
이는 이집트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벽돌을 쌓을 때 사용했던 회반죽을 상징합니다.
게필테 피시: 잉어 등 흰살 생선을 갈아 만든 생선 완자입니다.
닭고기 수프와 마쪼트 만두(크네이들락): 전통적인 절기 수프입니다.
유월절 국수: 감자 전분과 계란으로 만든 반죽을 크레이프처럼 부쳐서 말고,
국수처럼 잘라 수프에 넣어 먹습니다.
② 스파르딤 음식
카프테이카스 디 프라사: 부추, 고기, 마쪼트 가루를 섞어 만든 튀김 완자입니다.
양고기 혹은 닭다리: 하나님의 강한 팔과 유월절 희생 제사를 상징합니다.
미나(Mina, 또는 pastel di pesach): 마쪼트를 이용해 만든 고기나 시금치 파이입니다.
5. 하로셋의 다양한 지역 풍미
이집트 유대인은 대추, 건포도, 호두, 계피, 단 포도주를 사용합니다.
그리스·터키 유대인은 사과, 대추, 아몬드, 와인을 사용합니다.
이탈리아 유대인은 밤을 넣고, 이라크 유대인은 대추와 견과류를 혼합합니다.
Ⅳ. 기독교와 유월절
1.기독교에서의 유월절 의미
기독교에서 유월절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예수님의 ‘최후의 만찬’이 바로 유월절 만찬이었기 때문입니다. 유대인의 전통에 따라 유월절이 시작되는 날 저녁,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 떡과 포도주를 나누셨습니다. 이 장면은 오늘날 기독교의 성찬식의 기원이 됩니다.
예수님은 떡을 자신의 몸으로, 포도주를 자신의 피로 설명하시며, 이를 기념하라고 명하셨습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 날, 유월절 절기 중에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이하셨습니다. 이는 유월절 어린 양의 피로 이스라엘 백성이 구원을 받았던 출애굽 사건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기독교에서는 예수님을 ‘하나님의 어린 양’으로 이해하며, 그분의 희생이 인류를 죄에서 구원하는 결정적인 사건이라고 믿습니다. 따라서 유월절은 단지 과거 이스라엘의 해방을 기념하는 절기가 아니라, 예수님의 죽음과 죄 사함을 통해 새 출애굽, 곧 영적인 구원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성경 구절
* 유월절의 기원과 어린 양의 피를 통해 재앙을 피하는 구속의 장면입니다.
출 12:5 너희 어린 양은 흠 없고 일 년 된 수컷으로 하되 양이나 염소 중에서 취하고 6 이 달 열나흗날까지 간직하였다가 해 질 때에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7 그 피를 양을 먹을 집 좌우 문설주와 인방에 바르고
* 메시아의 고난을 예언하며, 예수님을 유월절 어린 양과 연결짓는 대표적인 예언입니다.
사 53:5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6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7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 가는 어린 양과 털 깎는 자 앞에서 잠잠한 양 같이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세례 요한이 예수님을 소개하며, 유월절 희생양의 이미지와 연결합니다.
요 1:29 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이르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바울이 명확하게 예수님을 유월절 어린 양과 동일시한 구절입니다.
고전 5:7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느니라
예수님이 최후의 만찬에서 유월절과 자신의 죽음을 연결짓는 장면입니다.
눅 22:15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16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유월절이 하나님의 나라에서 이루기까지 다시 먹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17 이에 잔을 받으사 감사 기도 하시고 이르시되 이것을 갖다가 너희끼리 나누라 18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19 또 떡을 가져 감사 기도 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20 저녁 먹은 후에 잔도 그와 같이 하여 이르시되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 예수님의 피를 유월절 어린 양의 피에 빗대어 구원의 본질을 설명합니다.
벧전 1:18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조상이 물려 준 헛된 행실에서 대속함을 받은 것은 은이나 금 같이 없어질 것으로 된 것이 아니요 19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된 것이니라
Ⅴ. 중간날, 일곱째 날, 유월절 요리 문화
1. 유월절 중간 날 (Chol HaMoed)
유월절은 이스라엘에서는 7일 동안, 디아스포라에서는 8일 동안 지킵니다. 그중 첫날과 마지막 날(디아스포라는 앞뒤 이틀)은 성일(노동 금지일)로 구별되며, 중간에 있는 날들은 ‘Chol HaMoed’(콜 하모에드)라고 불립니다. Chol HaMoed는 말 그대로 “절기 중의 평일”이라는 뜻인데요, 이 날들은 완전한 공휴일은 아니지만 반절기적 성격을 지니며, 일상적인 노동은 줄이고,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날들입니다. 유대인 가정에서는 이 시기에 나들이, 소풍, 친지 방문, 간단한 여행 등을 계획합니다. 야외에서는 마쪼트, 삶은 달걀, 신선한 과일과 채소, 마카롱, 수제 사탕 등을 싸서 간편하고 의미 있는 식사를 즐깁니다.
2. 유월절 음식의 지혜
유월절은 유대교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이집트에서의 해방을 기념합니다. 이 기간 동안 유대인들은 ‘하메츠’라 불리는 누룩이 들어간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으며, 이를 위해 특별한 준비와 조리 방식이 필요합니다.
① 하메츠와 그 회피 방법
하메츠는 밀, 보리, 호밀, 귀리, 스펠트 등의 곡물이 물과 접촉하여 18분 이상 발효된 모든 식품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빵, 케이크, 맥주 등 발효된 곡물 제품은 유월절 동안 금지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유대인 가정에서는 유월절 전 집 안의 하메츠를 철저히 제거하고, 유월절에 적합한(코셔르 레페사흐) 식품만을 섭취합니다.
② 페사흐용 식기와 조리 도구
하메츠의 흔적까지도 피하기 위해 많은 유대인 가정에서는 유월절 전용 식기와 조리 도구를 사용합니다. 이는 기존의 식기에 남아 있을 수 있는 하메츠의 잔여물을 완전히 배제하기 위함입니다. 일부 가정에서는 일반 식기를 뜨거운 물에 담그는 ‘하갈라트 케일림(hagalat keilim)’ 과정을 통해 정결하게 하여 유월절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③ 조리 방식의 변화와 원더팟(Wonder Pot)
오븐을 유월절에 맞게 정결하게 하지 않는 가정에서는 대안으로 ‘원더팟(Wonder Pot)’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원더팟은 이스라엘에서 개발된 전통 조리 도구로, 세 부분으로 구성된 독특한 냄비입니다. 이를 통해 오븐 없이도 가스레인지 위에서 케이크, 캐서롤, 고기 요리 등을 조리할 수 있어 유월절 기간 동안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④ 유월절 식사의 상징성
유월절 식사에서는 특정 음식을 통해 이집트 탈출의 역사를 기념합니다. 예를 들어, 무교병(마짜)은 급하게 떠나느라 발효시킬 시간이 없었던 빵을 상징하며, 쓴 나물(마로르)은 노예 생활의 고통을 떠올리게 합니다. 이러한 음식들은 유월절 식사인 세데르에서 특별한 접시에 담겨 제공됩니다.
* 마짜 (Maza, 무교병) – 누룩(효모) 없는 빵, 급하게 떠나느라 발효시킬 시간이 없었던 것을 상기시킵니다.
* 제로아 (Z’roa, 구운 뼈, 보통 양의 뼈) – 유월절 희생 제사를 상징합니다.
* 베이차 (Beitzah, 삶은 달걀) – 슬픔과 애도를 의미하며, 성전 파괴 이후 제사의 부재를 나타냅니다.
* 마로르 (Maror, 쓴 나물) – 이집트 노예 생활의 고통을 상기시킵니다.
* 카르파스 (Karpas, 파슬리, 셀러리 등 초록 채소) – 봄과 새 생명을 의미하며, 소금물에 적셔 먹습니다.
* 하로셋 (Charoset, 과일과 견과류 혼합물) – 이집트에서 벽돌을 만들던 진흙을 상징합니다.
* 하자렛 (Chazeret, 추가 쓴 나물) – 마로르와 같은 의미로 쓰입니다.

유월절 세데르 접시
3. 유월절 일곱째 날
① 바다가 갈라진 날을 기념
니산월 21일, 유월절의 마지막 날은 또 하나의 성일로 지켜지며, ‘쉬비이 셀 페사흐(Shvi’i shel Pesach)’, 즉 유월절 일곱째 날이라고 불립니다. 이 날은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고, 이집트 병사들이 물에 잠긴 사건을 기념합니다.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은 보통 이 날과 다음 날인 여덟째 날까지 이틀을 모두 성일로 지킵니다. 기도, 찬양, 절기 식사를 드리며, 유월절의 마지막을 경건하게 마무리합니다.
② 하시디즘 전통: 물 위의 믿음
하시딤(Hasidim) 공동체에서는 이 날 밤 특별한 모임인 티쉬(tish)를 가집니다. 랍비가 식탁에 물 한 그릇을 놓고, 홍해가 갈라졌던 사건을 해설하며 하나님의 구원의 능력에 대해 찬양합니다. 함께 노래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믿음으로 바다를 건넜던 조상들의 신앙을 회복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Ⅵ. 결론: 유월절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1. 유월절은 단지 과거의 기념일이 아니라, 현재를 돌아보게 하는 살아 있는 신앙의 절기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겪었던 고난, 해방, 감사, 순종, 자유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도 여전히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유월절의 정신은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억눌린 자를 기억하신다. 자유는 단순한 권리가 아니라, 거룩한 책임이다.” 이 정신은 유대인 사회를 넘어 흑인 노예 해방 운동,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희망 이야기, 그리고 오늘날 기후 위기와 정의를 외치는 모든 사람들의 목소리와도 이어집니다.
2. 유월절을 통해 우리는 자유와 해방, 그리고 하나님과의 언약의 소중함을 다시금 새길 수 있습니다. 올해 유월절을 맞으며, 단순한 전통 이상의 깊은 의미를 우리 삶 속에서도 함께 되새기고 실천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출애굽의 기적적인 구원이 있었습니다. 또한 예수님이 흘리신 보혈로 기적적인 구원이 있었습니다. 그런 구원의 기쁨이 우리 삶 가운데 날마다 이루어지기를 소망합니다.
유월절은 단순한 과거의 기념이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주는 해방과 회복의 메시지입니다. 출애굽의 밤처럼, 우리의 삶 속 얽매인 자리에서도 하나님께서 길을 여시고 자유케 하시는 은혜를 경험하길 소망합니다. 이 글이 유월절의 깊은 의미를 되새기는 것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저작권 안내
본 유월절을 포스팅은 제가 가지고 있는 자료와 wikipedia를 보면서 제 나름대로 정리했습니다. 본문 내용의 인용 시에는 반드시 출처(블로그 링크 포함)를 밝혀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