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의 역사 일람: 선사시대부터 독립까지
요르단은 고대 근동 문명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지역으로, 인류의 정착과 제국의 흥망을 오랜 시간에 걸쳐 목격한 땅입니다. 본 개요는 요르단의 역사를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1. 고대 근동 지역 개관
고대 근동은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히타이트, 가나안, 페르시아 지역을 포함한 문명의 발상지입니다. 이 지역은 정치적·종교적 중심지이자 교역의 요지로서 고대 제국들의 격전지였으며, 요르단은 이들 사이의 교차점에 위치한 전략적 지역이었습니다.
2. 레반트 지역
지금 현재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커스, 이스라엘의 수도 예루살렘, 요르단의 수도 암만이 레반트의 중심이 된다.
3. 구석기 시대
구석기 시대의 흔적이 아즈랔 오아시스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아즈랔에서 사람들이 살 수 있었던 이유는 큰 습지대가 있었기 때문인데, 2만5천년 전에 지질학적 변화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많은 담수를 제공하였다. 이런 생태 배경으로 인해서 이후 아즈랔은 주요 주거지역이 되었고, 훗날 아라비아,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를 왕래하는 카라반(낙타 상인들)의 교차로가 되었다. 요르단 남부 지역과 펠라 등지에서도 구석기 시대의 거주 지역이 형성되었다.
4. 신석기 시대
암만 북쪽의 아인 가잘, 요르단 계곡의 텔레일라트 엘 가술 등지에서는 신석기 시대의 거주 지역이 형성되었다.
5. 초기 청동기
기원전 3300년경부터 도시국가들이 생겨났고, 방어용 성벽, 곡물 저장소 등 복합 사회 구조가 발전하였다. 요르단 지역에서도 텔 에스 사엘 같은 초기 도시 유적이 발견된다.
6. 중기 청동기, 후기 청동기
가나안 땅에서 아브라함이 거주하던 시점에 트랜스 요르단 지역에서는 암몬인, 모압인이 거주하였다. 암몬 족속이 얍복강 중심으로 거주하였고, 아르논 강 아래로는 모압인들이 거주하였다. 이후, 에돔(에서의 후예)인이 사해 남쪽에서 아카바만에 이르는 지역에 거주하였다.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나와서 가나안 땅에서 거주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암몬왕국, 모압왕국, 에돔왕국은 이집트의 영향권 아래 있으면서 각자의 영역을 다스렸다.
7. 철기 시대
암몬 왕국은 한때 유다 왕국에 복속되어 있었지만 이후 앗시리아의 지배를 받았고, BC 7세기에는 경제 성장을 크게 이루었다. 암몬 왕국은 몰렉을 국가의 신으로 숭배하였고, 독립 또는 피지배 체제로 바벨론, 페르시아, 헬라 시대 초기까지 존재했었다.
모압의 국가 신은 그모스신이었다. 북이스라엘의 오므리 왕이 모압을 복속시켜 지배하였다. 모압의 메사 왕 때 이스라엘로부터 독립을 하였지만 BC 582년 바벨론에 의해서 멸망 당하였다.
에돔 왕국은 다윗 시대부터 여호람 왕 때까지(BC 841) 유다 왕국에 지배를 받았다. 잠시 독립 통치 체제를 가졌지만 앗시리아의 지배를 받으면서 점차 번성하였다.
8. 바빌로니아 시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바빌로니아가 앗시리아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강자로 올라섰다. 이로써 레반트 지역도 바빌로니아의 지배를 받게 된다. 유다 왕국이 바벨론에 의해 멸망 당한 후, 많은 유대인들이 에돔 왕국으로 도피하였고 에돔은 유다의 남부 땅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에돔 왕국은 바벨론의 나보니두스에 의해 결국 멸망당하였다.
9. 페르시아 시대
BC 539년 페르시아가 오리엔트를 통일하여 통치하였다. 페르시아의 지배 하에 있을 때에 에돔의 거주지들이 번성하였다.
10. 그리스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 때에 트랜스 요르단은 공격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사후 트랜스 요르단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의해 지배를 받았다. 에돔의 후손들로 불리는 이두매인들이 에돔의 거주지역과 유다의 남부 지역에 정착하여 살았다. 트랜스 요르단 지역에 있는 에돔의 거주지에는 나바테아인들이 이주하여 거주하였다. 처음에는 언어와 문화와 종교가 다른 에돔인들과 나바테아인들이 공존하여 살았다.
11. 로마 시대
나바테아 왕국이 점차 윤곽을 드러낼 즈음 에돔인들은 유다 지역으로 쫓겨나 살았고, BC 1세기 나바테아 왕국의 영토는 다마스커스에 이를 만큼 큰 번성을 누렸다. AD 106년 로마의 트라야누스 황제가 나바테아를 합병하였다. 트랜스 요르단 일대에 로마는 데카폴리스 즉 열 개의 연맹체 도시들을 세워 유대인과 나바테아인 세력을 견제하는 동시에 무역을 통해 경제를 발달시켰다.
12. 비잔틴 시대
로마 제국은 324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하고 392년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국교로 삼으면서 본격적인 기독교 국가로 면모를 가지게 되었다. 이때 트랜스 요르단 일대는 점점 기독교화가 되었다.
13. 이슬람 시대
610년 메카 메디나에서는 무하마드에 의해서 이슬람이 생겼다. 비잔틴과 사산 왕조 페르시아 간의 오랜 전투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일어난 이슬람 군대를 막아낼 전투력을 상실케 만들었다. 636년 야르묵 전투에서 비잔틴 군대가 이슬람 군대에게 패하였다. 이로써 634년부터는 이슬람 정통 칼리프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661년부터는 다마스커스를 수도로 하는 이슬람의 우마이야드(우아위야) 제국이 통치한다. 750년부터는 바그다드를 수도로 하는 이슬람의 압바스(아바스) 제국이 통치한다.
14. 십자군 시대
1099년부터는 비잔틴 제국과 이슬람 국가 간에 전쟁이 시작되었다. 십자군이 점령하여 케락 같은 곳에는 십자군의 요새가 세워지기도 하였다. 십자군은 맘룩 왕조에 의해 무너진다.
15. 아유비드-맘룩 시대
이집트를 본거지로 삼고 있는 아유비드 왕조가 요르단의 곳곳을 지배하였다. 1400년 몽골의 침입이 있었지만 맘룩 왕조가 몰아내고 이 지역은 맘룩 시대가 되었다.
16. 오스만 시대
1516년부터는 오스만 제국이 통치하였다. 슐레이만 대제(1520–1566) 때 가장 번영하였다. 요르단 지역은 메카, 메디나로 향하는 길목에 놓여 있어서 중요한 입지를 가졌다. 카라반의 왕래가 더욱 많아졌다.
17. 1차 세계 대전과 영국 위임 통치 시대
1914–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 영국은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세 종류의 협정을 맺었다. 1915년 후세인–맥마흔 선언을 통해서 오스만을 몰아내는데 협조한다면 아랍 왕국을 세우게 해주겠다는 약속을 영국이 후세인에게 하였다. 그러나 영국은 후세인과의 협정과는 충돌되는 프랑스와의 사이크스–피코 협정(1916년), 유대인과의 벨푸어 선언(1917년)을 함으로써 중동 분쟁의 시초를 야기시키게 된다. 1921년 영국은 아라비아 반도에 있는 히자즈에 하쉬마이트가의 왕자인 에미르 압둘라를 국가원수로 하는 “트랜스요르단(Transjordan)”을 건국하였다.
18. 영국으로부터의 독립 및 요르단 왕국 시대
1946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고, 1949년 국호를 요르단 하쉬마이트 왕국(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으로 하여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